[프로그래머스 / JAVA] Level 1 시저 암호 (12926)
게시글
⏰ 2021-12-18 09:05:21
D O W N

D O W N
랭크 | 사용 언어 |
---|---|
Level 1 | JAVA |
🔗 🔗 시저 암호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s | n | result |
---|---|---|
"AB" | 1 | "BC" |
"z" | 1 | "a" |
"a B z" | 4 | "e F d" |
주어진 문자열 s의 문자들을 n만큼 밀어 시저 암호를 만든다. 소문자 z의 경우 한 번 밀게 되면 a로 다시 역전하고, 마찬가지로 대문자 Z도 한 번 밀게 되면 A로 역전한다. 공백은 몇 번을 밀어도 공백.
각 문자를 정해진 수 만큼 적절히 순환하여 문자열을 반환하면 된다. 각 문자의 ASCII 코드 번호를 활용하면 된다.
해당 범위를 넘어가게 될 경우, 범위의 처음으로 순환하여 그 번호를 반환하는 메서드를 만들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private int converter(int num, int n) { // 대문자일 경우 if (num >= 65 && num <= 90) { // 대문자 영역을 넘어버릴 경우 if (num + n > 90) { return num + n - 90 + 65 - 1; } return num + n; } // 소문자일 경우 else if (num >= 97 && num <= 122) { // 소문자 영역을 넘어버릴 경우 if (num + n > 122) { return num + n - 122 + 97 - 1; } return num + n; } // 공백일 경우 else { return ' '; } }
converter 메서드는 해당 숫자와 밀 번호를 받아 민 만큼의 숫자를 반환한다. 공백은 그냥 밀 것 없이 바로 공백을 반환한다.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 * 시저 암호 클래스 * * @author RWB * @since 2021.12.13 Mon 16:12:50 */ class Solution { /** * 해답 반환 메서드 * * @param s: [String] 문자열 * @param n: [int] 이동 거리 * * @return [String] 해답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 int n) { return s.chars().mapToObj(value -> Character.toString(converter(value, n))).collect(Collectors.joining("")); } /** * 변환 결과 반환 메서드 * * @param num: [int] 원본 숫자 * @param n: [int] 이동 거리 * * @return [int] 변환환 숫자 */ private int converter(int num, int n) { // 대문자일 경우 if (num >= 65 && num <= 90) { // 대문자 영역을 넘어버릴 경우 if (num + n > 90) { return num + n - 90 + 65 - 1; } return num + n; } // 소문자일 경우 else if (num >= 97 && num <= 122) { // 소문자 영역을 넘어버릴 경우 if (num + n > 122) { return num + n - 122 + 97 - 1; } return num + n; } // 공백일 경우 else { return ' '; } } }
🏷️ Related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