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𝝅번째 알파카의 개발 낙서장

빅 오 표기법

게시글
⏰ 2021-07-13 19:21:37

D O W N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0317129/125144706-add9c080-e159-11eb-9522-063c655ddf36.png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이 게시글은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시리즈의 9개 중 3번 째 게시글입니다.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0317129/260317030-e4b8575b-f09e-47f4-ab70-168a817268c6.png

Table of Contents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0317129/260317030-e4b8575b-f09e-47f4-ab70-168a817268c6.png

본 포스팅은 개인 스터디 모임 활동의 일환으로,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도서를 정독한 뒤 해당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3장 빅 오 표기법

하나의 문제가 있어도, 이를 해결하는 수 많은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으로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알고리즘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지만, 알고리즘이라고 해서 다 같진 않다.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성의 차이 때문. 결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고 해도 그냥 무식하게 해결하는 알고리즘이 있는가 하면, 정말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도 있다. 그리고 우리는 통상 후자를 알고리즘이라는 명칭에 더 어울린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하나의 규칙으로 표기한 것이 빅 오 표기법이다. 이 장에서는 알고리즘의 빅 오 표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3-1. 빅 오: 단계 수 계산

보통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한다고 하면 소요시간을 생각하겠지만, 의외로 소요시간은 객관적인 성능 지표가 되지 못 한다. 그 이유는 컴퓨터마다 성능이 제각각이기 때문. 똑같은 게임을 구동해도 어떤 컴퓨터는 울트라옵으로 165 프레임을 뽑는다고 하면, 다른 컴퓨터는 최하옵으로도 버벅일 수 있다. 동일한 작업을 수행해도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 그 소요시간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때문에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하는 적절한 지표는 처리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전 장의 읽기 연산선형 검색을 통해 예를 들어보자.

읽기 연산의 경우, 배열이 10개가 있던 1억개가 있던 관계없이 인덱스 i의 요소를 읽는데 필요한 단계는 하나다. 반대로 선형 검색의 경우, 요소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연산에 요구되는 단계가 늘어난다. 배열 NN개가 있을 때, 찾는 요소가 배열 맨 끝에 있는 최악의 경우 NN개의 단계가 필요하다.

즉, 읽기 연산의 경우 언제나 한 단계만 필요하므로 O(1)O(1)로 표기할 수 있으머, 선형 검색의 경우 O(N)O(N)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러한 표기를 시간 복잡도라 한다.

3-2. 상수 시간과 선형 시간

읽기 연산처럼 요소의 갯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단계만을 필요로하는 연산이 있는가 하면, 선형 검색처럼 요소의 크기에 따라 단계가 가변하는 연산도 존재한다. 이전 문단에서 언급했듯이 읽기 연산의 시간 복잡도는 O(1)O(1), 선형 검색의 시간 복잡도는 O(N)O(N)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를 그래프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O(N)O(N)의 경우 우리가 흔히 접한 1차원 그래프 y=xy = x와 패턴이 동일하다. 요소의 수가 1씩 증가할 수록 단계 또한 1씩 정직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패턴을 선형 시간이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O(1)O(1)의 경우 단계에 관계없이 일정한 상수 그래프 y=1y = 1와 패턴이 동일하다. 이러한 패턴을 상수 시간이라고 표현한다.

O(1)O(1)의 경우 조금 특이한데, 아래의 모든 그래프는 O(1)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요소의 수에 관계 없이 두 단계를 요구하면 O(2)O(2), 100 단계를 요구하면 O(100)O(100)일 것 같지만, 빅 오 표기법은 단계가 일정할 경우 이를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즉, 설령 단계가 1억개가 된다 하더라도 시간 복잡도는 O(1)O(1)이 된다.

상수 시간의 경우 기본적으로 선형 시간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한다. 그 이유는 아래 그래프와 같다.

O(1)O(1)의 경우 값이 너무 작아 표시가 잘 안 되므로 우측의 보조축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깊게 생각하지 않더라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그래프는 언젠가 상수 그래프를 넘어서게 된다. 즉, 요소가 무수히 많아지는 거시적 관점으로 보면 언젠가 선형 시간의 효율이 상수 시간보다 떨어지는 시점에 도달한다. 예제를 보면 요소가 10개 이상일 경우 선형 시간의 효율성이 점점 떨어진다.

그런데 선형 시간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분명히 단계가 최대 NN개가 소요될 수 있다는 뜻이지, 항상 NN개가 소요된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부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1억개의 배열에서 5를 검색한다고 가정하면, 필요한 단계는 5밖에 안 된다. 그럼에도 책에서는 선형 시간보다 상수 시간이 비교적 효율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 이유는 뭘까? 다음 문단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3-3. 같은 알고리즘, 다른 시나리오

선형 검색은 검색하려는 요소의 위치에 따라서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최선의 경우 요소가 맨 앞에 있으므로 단계가 하나만 필요하여 O(1)O(1)과 동일한 시간 복잡도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요소가 맨 끝에 있으므로 온전히 NN개의 단계가 필요하여 O(N)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통상 알고리즘이 어떤 데이터를 얼마나 많이 처리할지 미리 알 수 없다. O(N)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임의의 알고리즘에 최선의 케이스를 적용하여 처리하면 O(1)O(1)에 가깝게 동작할 것이고, 최악의 케이스를 적용하여 처리하면 O(N)O(N)에 가깝게 동작할 것이다.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가장 비관적인 접근으로 바라본다.

우리가 어떤 물건을 온라인으로 주문한다고 생각해보자. 내가 원하는 물건을 여러 업체에서 동일한 가격에 팔고 있지만, 택배 도착에 걸리는 시간이 다르다. 이는 업체의 페이지에 각각 아래와 같이 써있으며, 택배 도착은 이 시간을 절대로 벗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 A업체: 빠르면 오늘, 늦으면 일주일 뒤
  • B업체: 빠르면 내일, 늦으면 3일 뒤
  • C업체: 빠르면 3일, 늦으면 5일 뒤

우리가 3일 안으로 물건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면 B업체가 가장 안전할 것이다. 물론 A업체에 주문하면 오늘 당장이라도 올 가능성이 있지만, 최악의 경우 일주일을 꼬박 기다려야 받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3일을 넘어버릴 가능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빠르게 오면 단순히 좋은 정도지만, 3일을 넘어서면 안 되므로 A업체 또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C업체는 말할 필요도 없고.

알고리즘도 이러한 관점과 동일하다. NN이 최대 100인 O(N)O(N) 알고리즘이 있을 때, 성능 상의 이유로 단계가 50이 넘어가면 크래쉬를 유발할 경우 이 알고리즘은 적절하지 않다. 이와 같이 최악의 상황을 알아야 장애를 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알고리즘의 성능은 항상 최악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3-4 세 번째 유형의 알고리즘

물론 시간 복잡도가 O(1)O(1), O(N)O(N)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2장에서 다뤘던 이진 검색의 경우, 요소에 따라 단계가 증가하긴 하지만 O(N)O(N)과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는 않는다. 즉, O(1)O(1)도 아니고, O(N)O(N)도 아닌 그 사이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이진 검색의 시간 복잡도는 기본적으로 O(log2N)O(\log_2N)을 가진다. O(1)O(1), O(log2N)O(\log_2N), O(N)O(N)가 요구하는 단계를 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O(1)O(1), O(logN)O(\log N)의 경우 값이 너무 작아 표시가 잘 안 되므로 우측의 보조축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로가리즘

우리가 흔히 부르는 log\log. 즉, 로그는 로가리즘(Logarithm)의 줄임말이다. xn=yx^n = y가 성립할 경우, 이를 로그로 표현하면 logxy=n\log_xy = n과 같다.

예를 들어, 32=93^2 = 9가 성립한다. 이를 로그로 표현하면 log39=2\log_39 = 2가 된다. 이렇게 로그를 통해 수의 제곱수를 구할 수 있다.

O(logN)O(\log N)의 해석

위 문단에서 로그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를 했으니, O(logN)O(\log N)에 대해 논의해보자. 통상 수학에선 log10x\log_{10}x을 간략화하여 log\log로 표현했지만, 빅 오 표기법에서는 log2x\log_2x의 간략화다. 현실에선 십진법이 통용되지만, 컴퓨터는 이진법을 사용하기 때문.

O(N)O(N)O(logN)O(\log N)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NNO(N)O(N)O(logN)O(\log N)
221
442
883
16164
32325
64646
1281287
2562568
5125129
1024102410
21002^{100}21002^{100}100

O(N)O(N)NN이 증가함에 따라 정직하게 같이 증가하지만, O(logN)O(\log N)NN이 정확히 두 배가 될 때 1씩 증가한다.

여담으로, 천문학같은 거시세계에서 로그가 중요한 이유가 위 표만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1002^{100}은 126,7650,6002,2822,9401,4967,0320,5376이다. 약 100양에 육박하는 수치로, 양은 수의 단위인 조를 아득히 뛰어넘는 단위다.

현실세계와 달리 수학이나 천문학과 같은 경우 우리에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큰 수를 다루기도 하는데, 이를 로그로 표현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

3-7. 실제 예제

지금까지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실제 코드에 적용해보자. 4개의 요소를 가진 배열이 있고, 배열의 값을 하나씩 출력하는 알고리즘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빅 오 표기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14/about-algorithm-chapter03/">빅 오 표기법</a>
 * @since 2021.07.14 Wed 17:40:00
 */
public class BigO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 배열
		String[] things = { "apples", "baboons", "cribs", "delcimers" };
		
		// 배열마다 하나씩 순회
		for (String thing : things)
		{
			StringBuilder builder = new StringBuilder();
			builder.append("Here's a thing: ");
			builder.append(thing);
			
			writer.write(builder.toString());
			writer.newLine();
		}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
}

소스는 위와 같다.

TC

1
2
3
4
Here's a thing: apples
Here's a thing: baboons
Here's a thing: cribs
Here's a thing: delcimers

결과는 위와 같다.

요소마다 하나씩 읽어 요소의 내용을 출력한다. 즉, 요소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므로,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O(N)으로 표현할 수 있다.

반대로 가장 기본적인 문자열 하나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을 살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빅 오 표기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14/about-algorithm-chapter03/">빅 오 표기법</a>
 * @since 2021.07.14 Wed 17:56:49
 */
public class BigO2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Hello world!");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
}

소스는 위와 같다.

TC

1
Hello world!

결과는 위와 같다.

알고리즘이라 부르기는 조금 뭐하지만, 어쨌든 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단계는 무조건 하나다. 즉 시간 복잡도는 O(1)O(1)이다.

좀 더 실속있는 예제를 살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소수 판별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14/about-algorithm-chapter03/">빅 오 표기법</a>
 * @since 2021.07.14 Wed 18:01:20
 */
public class CheckPrime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소수를 판별할 값 입력 >> ");
		writer.flush();
		
		// 입력값
		int target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 소수일 경우
		if (isPrime(target))
		{
			writer.write("소수로 판별됨");
		}
		
		// 아닐 경우
		else
		{
			writer.write("소수가 아닌 것으로 판별됨");
		}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소수 여부 반환 함수
	 *
	 * @param num: [int] 대상 값
	 *
	 * @return [boolean] 소수 여부
	 */
	private static boolean isPrime(int num)
	{
		for (int i = 2; i < num; i++)
		{
			//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있을 경우
			if (num % i == 0)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

소스는 위와 같다.

  • 입력값

TC

1
156842101
  • 출력값

TC

1
소수가 아닌 것으로 판별됨

이 소스는 임의의 값을 입력받아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156842101은 소수가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해당 알고리즘은 가장 작은 소수인 2부터 입력값 target까지 하나씩 증가시킨 값을 target과 나눠서 정확히 나눠떨어지는지 아닌지를 통해 소수를 판별하는 매우 기초적인 알고리즘이다.

최악의 케이스는 판별값이 소수일 경우로, 2부터 target - 1까지의 작업 전체를 요구하므로 총 target - 2의 작업이 발생한다. N=targetN = target일 때, -2는 그렇게 의미있는 값이 아니므로 위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O(N)으로 봐도 무방하다.

마무리

알고리즘을 정석적으로 공부하지 않아서, 빅 오 표기법과 같은 시간 복잡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았었다. 시간 복잡도의 개념과 그 계산 방식을 알 수 있었던 매우 의미있는 장이였다.

다음 장에선 이 빅 오 표기법을 활용하여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Related Tag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 빅 오 표기법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댓글을 달아주시는 건 어떤가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https://blog.itcode.dev/posts/2021/07/14/about-algorithm-chapter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