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이란?
게시글
⏰ 2021-05-22 03:52:51
D O W N

D O W N
도메인을 이해하기 위해선, IP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컴퓨터, 스마트폰, 공유기 등)는 고유한 12자리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를 가진다.
IP를 유동성으로 나누면 크게 유동 IP, 고정 IP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가 원하는 장소에 방문하기 위해 주소를 찾듯이, 특정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선 해당 서버의 주소인 IP가 필요하다.
불행히도, IP는 불규칙적인 숫자로 이루어져있어, 사람이 쉽게 기억하기 다소 어렵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Domain(도메인)이다.
도메인은 SLD(서브도메인), 도메인, TLD(최상위 도메인)으로 구분되며, 해당 도메인의 정보는 1차적으로 각 로컬 DNS 서버가 관리하며, 최종적으로는 TLD를 관리하는 Root DNS에서 관리한다.
우리가 흔히 네이버라고 부르는 사이트의 실제 IP는 🔗 125.209.222.141이다. 하지만 우리들 중 그 누구도 저런 IP로 네이버에 접속하지 않는다. 대신 우리는 🔗 https://www.naver.com이라는 도메인으로 접속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주소 자체에 naver라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억하기 쉽기 때문이다.
도메인은 숫자가 아닌, 문자 형태로 이루어진 주소다. 문자이므로, 주소에 의미를 부여하기 용이하다. 사용자가 주소를 기억하기 쉬워 주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준다.
생성한 도메인에 원하는 IP를 연결하면 도메인 주소를 통해서도 해당 IP에 접근할 수 있다.
도메인 제공 업체에 따라, 영숫자 뿐만 아니라 한글과 같은 유니코드 문자도 지원하므로, 딱딱한 IP 대신 개성있는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의문점이 한 가지 생긴다. IP 🔗 125.209.222.141와 도메인 🔗 https://www.naver.com가 네이버를 가리키는 주소인건 알겠는데, 인터넷은 과연 두 주소의 연결고리를 어떻게 아는 걸까?
이는 도메인의 동작 원리를 보면 알 수 있다. blog.itcode.dev 도메인에 접근하는 과정을 예시로 보자.
기본적으로 도메인은 반드시 하나의 IP와 연결된다. 이런 특징 덕분에 도메인은 항상 특정한 하나의 IP만을 반환한다.
🏷️ Related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