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𝝅번째 알파카의 개발 낙서장

재귀를 사용한 재귀적 반복

게시글
⏰ 2021-08-03 15:26:26

D O W N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0317129/125144706-add9c080-e159-11eb-9522-063c655ddf36.png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이 게시글은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시리즈의 9개 중 9번 째 게시글입니다.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0317129/260317030-e4b8575b-f09e-47f4-ab70-168a817268c6.png

Table of Contents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0317129/260317030-e4b8575b-f09e-47f4-ab70-168a817268c6.png

본 포스팅은 개인 스터디 모임 활동의 일환으로,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도서를 정독한 뒤 해당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9장 재귀를 사용한 재귀적 반복

컴퓨터 언어에서의 재귀란 자기 자신을 호출함을 의미한다. 알고리즘에서의 재귀는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써, 그 특성 상 복잡한 연산 및 연산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JAVASCRIPT

1
2
3
4
5
6
7
8
9
/**
 * 재귀 함수
 */
function recursive()
{
	console.log('recursive');

	recursive();
}

OUTPUT

1
2
3
4
5
6
7
recursive
recursive
recursive
recursive
recursive
recursive
...

위 소스는 재귀의 특성을 간단하게 구현한 예제다. 위 함수를 호출하면 "recursive"라는 단어가 끝없이 출력된다.

recursive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끝없이 호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 겉보기엔 쓸데없는 장난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재귀의 특징을 잘 활용하면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된다.

9-1. 루프 대신 재귀

지금껏 코드에서 어떤 동작을 반복하기 위해 우리는 루프를 사용한다. for, while 등과 같은 반복문을 통해 원하는 만큼 동작을 반복한다.

10부터 0까지 카운트다운을 하는 소스를 설계해보면 아래와 같다.

JAVASCRIPT

1
2
3
4
5
6
7
8
9
10
11
12
/**
 * 루프를 활용한 카운트다운 함수
 * 
 * @param {number} start: 시작 숫자
 */
function countdown(start)
{
	for (let i = start; i >= 0; i--)
	{
		console.log(i);
	}
}

INPUT

1
10

OUTPUT

1
2
3
4
5
6
7
8
9
10
11
10
9
8
7
6
5
4
3
2
1
0

위 소스는 javascript로 루프를 사용해 작성한 카운트다운 소스다. 하지만, 루프 대신 재귀를 사용하면 아래처럼 구성할 수도 있다.

JAVASCRIPT

1
2
3
4
5
6
7
8
9
10
11
/**
 * 재귀를 활용한 카운트다운 함수
 * 
 * @param {number} start: 시작 숫자
 */
function countdown(start)
{
	console.log(start);

	countdown(start - 1);
}

INPUT

1
10

OUTPU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0
9
8
7
6
5
4
3
2
1
0
-1
-2
...

반대로 위 소스는 루프 대신 재귀를 활용하여 카운트다운을 수행한다. start를 출력하고 1을 뺀 값을 다시 자기 자신인 countdown에 전달한다.

대부분의 루프는 재귀로 대체할 수 있다. 단순히 대체되는 것 이상으로 재귀는 루프와 달리 유의미한 성능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그 이전에, 위 소스의 출력을 살펴보자. 통상 카운트다운은 정해진 숫자부터 1 혹은 0까지를 센다. 그런데 위 소스, 0을 넘어서 -1, -2... 한 없이 내려간다. 왜 이러는 걸까?

9-2. 기저 조건

이전 문단에서 기술한 재귀 함수는 카운트다운이라고 볼 수 없다. 그냥 입력한 숫자부터 끊임없이 숫자를 나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이 재귀 함수에 일종의 브레이크라고 할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0까지의 카운트다운이므로, start의 값이 0일 경우 더 이상 자기 자신을 호출하지 않도록 바꿔줄 필요가 있다.

JAVASCRIP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 재귀를 활용한 완전한 카운트다운 함수
 * 
 * @param {number} start: 시작 숫자
 */
function countdown(start)
{
	console.log(start);

	// 값이 0보다 클 경우
	if (start > 0)
	{
		countdown(start - 1);
	}
}

INPUT

1
10

OUTPU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0
9
8
7
6
5
4
3
2
1
0
...

위 소스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소스다. start가 0보다 클 경우에만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한다. 0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재귀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아 동작이 종료된다. 동작에 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이다.

우리가 forwhile에 특정 조건을 삽입해서 원하는 만큼만 반복문을 수행하는 것처럼 재귀도 이러한 조건을 달아서 원하는 만큼만 반복하게끔 구성해야한다.

물론 위의 두 반복문은 조건을 어디에 어떤 식으로 입력해야하는지 명확하게 기술되어있다면, 재귀는 코드 내에서 조건을 구성하므로 그 방식이 명확하지 않다. 때문에 재귀를 처음 접하거나, 경험이 없을 경우 이런 방식의 조건 설정이 익숙하지 않아 무한히 동작하는 재귀 함수를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재귀를 멈추는 조건을 기저 조건이라 한다. 앞서 설명한 예제 countdown의 기저 조건은 start > 0이라 할 수 있다.

9-3. 재귀 코드 읽기

앞서 말했듯이, 재귀는 그 조건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다. 때문에 경우에 따라선 재귀 코드를 읽는 것초자 어렵기도 하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재귀 코드를 읽어보자.

고등학교 수학에서 배운 내용 중 팩토리얼(Factorial) 연산이 있다. 팩토리얼은 5!5!과 같이 표기하며, 연산 결과는 5×4×3×2×1=1205 \times 4 \times 3 \times 2 \times 1 = 120이 된다. 즉, 일반식으로 표기하면 아래와 같다.

n!=n×(n1)×(n2)××2×1n! = n \times (n - 1) \times (n - 2) \times \dotsb \times 2 \times 1

팩토리얼 연산을 단축하면 n!=n×(n1)!n! = n \times (n - 1)!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재귀를 적용시키기 매우 용이한 패턴이다.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팩토리얼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31/about-algorithm-chapter09/">재귀를 사용한 재귀적 반복</a>
 * @since 2021.08.02 Mon 22:57:53
 */
public class Factorial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index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writer.write(String.valueOf(factorial(index)));
		
		writer.close();
		reader.close();
	}
	
	/**
	 * 팩토리열 연산 결과 반환 함수
	 *
	 * @param index: [int] 인덱스
	 *
	 * @return [int] 팩토리얼 연산 결과
	 */
	private static int factorial(int index)
	{
		// 인덱스가 1일 경우
		if (index == 1)
		{
			return 1;
		}
		
		// 인덱스가 1이 아닐 경우
		else
		{
			return index * factorial(index - 1);
		}
	}
}

INPUT

1
10

OUTPUT

1
3628800

책에서 설명하는 재귀 코드를 읽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기저 조건이 무엇인지 찾는다.
  2. 기저 조건을 다룬다는 가정하에 함수를 살펴본다.
  3. 기저 조건 바로 조건을 다룬다는 가정하에 함수를 살펴본다.
  4. 한 번에 한 조건씩 올라가면서 계속 분석한다.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 인덱스가 1일 경우
if (index == 1)
{
	return 1;
}

// 인덱스가 1이 아닐 경우
else
{
	return index * factorial(index - 1);
}

위 소스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므로, 어렵지 않게 분기를 찾을 수 있다. index == 1인 경우와 아닌 경우가 분기다.

JAVA

1
2
3
4
5
// 인덱스가 1이 아닐 경우
else
{
	return index * factorial(index - 1);
}

재귀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이므로, 분기의 else 부분이 재귀가 일어나는 영역이라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재귀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이 기저 조건이라 할 수 있다.

JAVA

1
2
3
4
5
// 인덱스가 1일 경우
if (index == 1)
{
	return 1;
}

즉, 위 재귀 함수의 기저 조건은 index == 1이다. factorial(1)은 1을 반환한다. 이 기저 조건을 토대로 factorial(4)의 동작을 전개하면 아래와 같다.

  1. factorial(4)=4×factorial(3)\text{factorial(4)} = 4 \times \text{factorial(3)}
  2. factorial(4)=4×3×factorial(2)\text{factorial(4)} = 4 \times 3 \times \text{factorial(2)}
  3. factorial(4)=4×3×2×factorial(1)\text{factorial(4)} = 4 \times 3 \times 2 \times \text{factorial(1)}
  4. factorial(4)=4×3×2×1=12\text{factorial(4)} = 4 \times 3 \times 2 \times 1 = 12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재귀 함수의 기저 조건은 재귀를 멈추는 요인이므로, 기저 조건을 바탕으로 전개하면 비교적 쉽게 연산을 이해할 수 있다.

9-4. 컴퓨터의 눈으로 바라본 재귀

우리가 재귀함수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코드의 실행 주체는 어찌됐든 컴퓨터가 담당하게 된다. 즉, 우리가 이를 이해하는 것 만큼 컴퓨터가 이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아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전 장에서, 우리는 스택에 대해 다뤘었다. 컴퓨터가 재귀를 다룰 때 스택을 활용하여 관리한다. factorial(4)를 컴퓨터가 스택으로 어떻게 관리하는 지 알아보자.

  1. factorial(4)를 호출한다.

factorial(4) 내부에서 factorial(3)을 호출하므로, factorial(4)를 스택에 삽입하고 factorial(3)을 수행한다. 이 때 factorial(4)는 종료된 것이 아니라, 재귀 호출로 인해 연산이 중단된 상태다.



  1. factorial(3)을 호출한다.

마찬가지로 재귀로 인해 연산 과정에서 factorial(2)를 호출하므로, 마찬가지로 연산을 중단하고 스택에 삽입한다.



  1. factorial(2)를 호출한다.

위와 동일하다.



  1. factorial(1)를 호출한다.

factorial(1)는 기저 조건이므로 재귀가 호출되지 않는다. 1을 반환하고 연산을 종료한다. 하지만 스택에 데이터가 남아있으므로, 전체 연산이 종료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1. factorial(2)를 종료한다.

factorial(2)의 연산 결과는 factorial(1)의 결과와 연관된다. factorial(1) 결과가 계산되었으므로, factorial(2)를 종료할 수 있다. 연산을 종료하고 스택에서 제거한다.



  1. factorial(3)을 종료한다.

factorial(3)의 연산을 종료하고 스택에서 제거한다.



  1. factorial(4)을 종료한다.

factorial(4)의 연산을 종료하고 스택에서 제거한다. 스택에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으므로 모든 연산이 종료된다.



위와 같이 재귀는 스택을 활용하여 연산한다. 만약 기저 조건의 설정을 잘 못 해서 재귀 연산이 끝없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택 역시 끝없이 쌓이게 되서 메모리가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때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

9-5. 재귀 다뤄보기

지금까지 다룬 팩토리얼 연산의 경우 사실 루프를 사용해도 그리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으며, 제시된 코드 역시 재귀를 사용했을 때 크게 이점이 있는 것도 아니였다.

이번엔 좀 더 재귀를 사용했을 때 이점이 있을 법한 주제로 코드를 설계해보자. 재귀는 구조 상 알고리즘 내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알고리즘에 가장 적합하다. 즉, 재귀의 사용 여부는 루프의 보다 나 자신을 다시 호출해야 하는지 여부에 따라 갈린다.

코드로 파일 리스트를 불러온 적이 있다면 익숙할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특정 폴더 내의 파일 리스트 전체를 불러오는 것은 생각보다 까다롭다. 단순히 폴더 바로 밑의 파일 리스트만을 가져온다면 쉽겠지만, 그 하위, 하위의 하위 파일까지 가져오려면 그리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폴더 및 하위 폴더의 모든 폴더 리스트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우선은 가장 간단하게, 하위 폴더는 신경쓰지 말고 현재 폴더에 존재하는 폴더 리스트만을 가져와보자.

폴더 루트 경로는 D:\root와 같으며, 구조는 아래와 같다.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Objects;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폴더 리스트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8/04/about-algorithm-chapter09/">재귀를 사용한 재귀적 반복</a>
 * @since 2021.08.03 Tue 22:55:59
 */
public class DirectoryList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폴더 리스트를 출력할 경로를 입력하세요 >> ");
		writer.flush();
		
		String path = reader.readLine();
		
		String[] list = getList(path);
		
		writer.write(Arrays.toString(list));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폴더 리스트 반환 함수
	 *
	 * @param path: [String] 경로
	 *
	 * @return [String[]] 폴더 리스트
	 */
	private static String[] getList(String path)
	{
		return Arrays.stream(Objects.requireNonNull(new File(path).listFiles(File::isDirectory))).map(File::getName).toArray(String[]::new);
	}
}

INPUT

1
D:\root

OUTPUT

1
[a, b, c]

현재 폴더의 직전 하위 폴더 리스트만을 출력한다. 한단계 하위 폴더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해 코드를 개선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List;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폴더 리스트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8/04/about-algorithm-chapter09/">재귀를 사용한 재귀적 반복</a>
 * @since 2021.08.03 Tue 23:32:46
 */
public class MoreDirectoryList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폴더 리스트를 출력할 경로를 입력하세요 >> ");
		writer.flush();
		
		String path = reader.readLine();
		
		ArrayList<String> list = getList(path);
		
		writer.write(String.valueOf(list));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폴더 리스트 반환 함수
	 *
	 * @param path: [String] 경로
	 *
	 * @return [ArrayList<String>] 폴더 리스트
	 */
	private static ArrayList<String> getList(String path)
	{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File[] files = new File(path).listFiles(File::isDirectory);
		
		// 파일 배열이 유효할 경우
		if (files != null)
		{
			for (File file : files)
			{
				list.add(file.getName());
				
				File[] files1 = file.listFiles(File::isDirectory);
				
				// 파일 배열이 유효할 경우
				if (files1 != null)
				{
					for (File file1 : files1)
					{
						list.add(file1.getName());
					}
				}
			}
		}
		
		return list;
	}
}

INPUT

1
D:\root

OUTPUT

1
[a, a1, a2, b, b1, b2, c, c1, c2]

각 폴더의 하위 폴더의 리스트까지 출력해준다. 소스를 봐도 폴더일 경우 동일한 소스가 한 번 더 동작된다. 하지만 이는 매우 제한적이다. 폴더의 깊이가 정해져있다면 이런 식으로 계속 동일한 소스를 반복하면 되겠지만, 이러한 케이스는 거의 존재하지 않아 무의미하다.

이 경우 재귀를 사용하면 매우 손쉽게 모든 폴더의 하위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List;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재귀 폴더 리스트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8/04/about-algorithm-chapter09/">재귀를 사용한 재귀적 반복</a>
 * @since 2021.08.03 Tue 23:36:43
 */
public class RecursiveDirectoryList
{
	private static final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폴더 리스트를 출력할 경로를 입력하세요 >> ");
		writer.flush();
		
		String path = reader.readLine();
		
		getList(path);
		
		writer.write(String.valueOf(LIST));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폴더 리스트 산출 함수
	 *
	 * @param path: [String] 경로
	 */
	private static void getList(String path)
	{
		File[] files = new File(path).listFiles(File::isDirectory);
		
		// 파일 배열이 유효할 경우
		if (files != null)
		{
			for (File file : files)
			{
				LIST.add(file.getName());
				
				getList(file.getPath());
			}
		}
	}
}

INPUT

1
D:\root

OUTPUT

1
[a, a1, a2, b, b1, b11, b2, c, c1, c11, c12, c2]

재귀를 이용하여 하위 폴더의 전체 폴더명을 출력할 수 있다. 동일한 소스를 구태여 반복할 필요도 없고, 하위 깊이가 얼마나 되는지 알 필요 없이 폴더명 전체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탐색 순서는 아래와 같다.

마무리

이 장의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재귀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구조다.
  • 대부분의 루프는 재귀로 대체할 수 있다.
  • 알고리즘 구조 상 자기 자신을 호출해야할 때 가장 적합하다.

백준 알고리즘을 풀었을 때도, 재귀를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적지 않았을 정도로 재귀는 알고리즘에서 그 쓰임새가 매우 높다. 이번 장을 통해 재귀의 특성을 정리함으로써, 앞으로 알고리즘을 푸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 Related Tag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 재귀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댓글을 달아주시는 건 어떤가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https://blog.itcode.dev/posts/2021/08/04/about-algorithm-chapter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