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코드 최적화

⏰ 2021-07-23 (금) 23:42:33

screener
시리즈 모아보기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5 / 9

Table of Contents

  • 1. 5장 빅 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코드 최적화









본 포스팅은 개인 스터디 모임 활동의 일환으로,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도서를 정독한 뒤 해당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5장 빅 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코드 최적화

지금까지 알고리즘의 퍼포먼스를 비교하면서 빅 오 표기법을 통해 수치화했다. 하지만 빅 오 표기법도 알고리즘의 퍼포먼스를 측정함에 있어서 완벽함을 보여주진 않는다.

이전 장에서 N(O2)N(O^2)이나 N(N2N)N(N^2 - N) 모두 빅 오 표기법에선 N(O2)N(O^2)로 간주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제로는 명백한 차이를 보이는 알고리즘임에도 불구하고 빅 오 표기법으론 성능이 거의 동일하게 측정되기도 한다.

알고리즘의 속도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척도이므로, 이를 정확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장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대체로 성능이 비슷해보이는 알고리즘을 구별하여 더욱 빠른 알고리즘을 판별해본다.

5-1. 선택 정렬

이전 장에서는 버블 정렬 알고리즘을 통해 내용을 서술했다. 이번 장에서는 다른 정렬 알고리즘인 선택 정렬 알고리즘을 통해 서술해본다.

선택 정렬 알고리즘은 패스스루마다 요소를 탐색하여 최소값을 탐지하고, 이를 앞으로 보내어 정렬하는 방식이다.

정렬에 사용할 배열은 위와 같으며, 과정은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된다.

  1. 맨 첫 번째 값을 탐색한다.

한 패스스루에서 가장 작은 요소를 찾는 것이 핵심이다. 아직 첫 단계이므로, 첫 요소는 그 자체로 최소값이 된다.

  1. 탐색 포인터를 한 칸 이동하여 패스스루 최소값과 비교한다.

  • 최소값: 5
  • 탐색값: 3

패스스루 최소값을 3으로 갱신한다.

  1.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9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1.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2

패스스루 최소값을 2로 갱신한다.

  1.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2
  • 탐색값: 6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마지막 요소이므로, 탐색이 종료되고 요소 하나를 정렬한다.

  1. 패스스루 최소값의 요소를 맨 앞으로 정렬한다.

맨 앞의 요소 5와 최소값 2의 자리를 서로 교환한다. 2는 완전히 매칭되었으므로, 앞으로의 패스스루에서 제외된다.

5-2. 선택 정렬 실제로 해보기

이전 문단에서 선택 정렬의 원리에 대해 알았으니, 전체 배열에 대한 선택 정렬을 수행해보자.

패스스루 1은 이전 문단의 과정과 동일하다.

  1. 패스스루 1: 맨 첫 번째 요소를 탐색한다.

  • 최소값: -
  • 탐색값: 5

한 패스스루에서 가장 작은 요소를 찾는 것이 핵심이다. 아직 첫 단계이므로, 첫 요소는 그 자체로 최소값이 된다.

  1. 패스스루 1: 탐색 포인터를 한 칸 이동하여 패스스루 최소값과 비교한다.

  • 최소값: 5
  • 탐색값: 3

패스스루 최소값을 3으로 갱신한다.

  1. 패스스루 1: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9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1. 패스스루 1: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2

패스스루 최소값을 2로 갱신한다.

  1. 패스스루 1: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2
  • 탐색값: 6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마지막 요소이므로, 탐색이 종료되고 요소 하나를 정렬한다.

  1. 패스스루 1: 패스스루 최소값의 요소를 맨 앞으로 정렬한다.

맨 앞의 요소 5와 최소값 2의 자리를 서로 교환한다. 2는 완전히 매칭되었으므로, 앞으로의 패스스루에서 제외된다.

  1. 패스스루 2: 두 번째 요소를 탐색한다.
  • 최소값: -
  • 탐색값: 3

해당 요소를 최소값으로 지정한다.

  1. 패스스루 2: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9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1. 패스스루 2: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5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1. 패스스루 2: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3
  • 탐색값: 6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1. 패스스루 2: 패스스루 최소값의 요소를 두 번째 위치로 정렬한다.

최소값 3이 우연히도 올바른 자리에 위치하고 있어서 자리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두 번째 요소까지 정렬되었으므로, 마찬가지로 다음 패스스루부터 제외된다.

  1. 패스스루 3: 세 번째 요소를 탐색한다.

  • 최소값: -
  • 탐색값: 9

해당 요소를 최소값으로 지정한다.

  1. 패스스루 3: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9
  • 탐색값: 5

패스스루 최소값을 5로 갱신한다.

  1. 패스스루 3: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5
  • 탐색값: 6

패스스루 최소값이 더 작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1. 패스스루 3: 패스스루 최소값의 요소를 세 번째 위치로 정렬한다.

세 번째 요소 9와 최소값 5와의 자리를 서로 교환한다.

  1. 패스스루 4: 네 번째 요소를 탐색한다.

  • 최소값: -
  • 탐색값: 9

해당 요소를 최소값으로 지정한다.

  1. 패스스루 4: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최소값: 9
  • 탐색값: 6

패스스루 최소값을 6으로 갱신한다.

  1. 패스스루 4: 패스스루 최소값의 요소를 네 번째 위치로 정렬한다.

네 번째 요소 9와 최소값 6와의 자리를 서로 교환한다.

  1. 패스스루 5: 마지막 요소를 탐색한다.

  • 최소값: -
  • 탐색값: 9

패스스루 최소값을 9로 갱신한다.

마지막 요소이므로 그 자체로 정렬된 위치에 있으며, 패스스루가 종료된다.

이로써 선택 정렬을 통해 최종적으로 정렬된 배열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5-3. 선택 정렬 구현

선택 정렬의 과정을 토대로 이를 JAVA로 구현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s;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선택 정렬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23/about-algorithm-chapter05/">빅 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코드 최적화</a>
 * @since 2021.07.23 Fri 01:12:20
 */
public class SelectionSort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중복 확인할 정수 배열을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입력 >> ");
		writer.flush();
		
		// 배열
		int[] array = Arrays.stream(reader.readLine().split(" ")).mapToInt(Integer::parseInt).toArray();
		
		int[] processes = selectionSort(array);
		
		writer.write(Arrays.toString(array));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write(" - 비교 작업량: ");
		writer.write(String.valueOf(processes[0]));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write(" - 스왑 작업량: ");
		writer.write(String.valueOf(processes[1]));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write(" - 총 작업량: ");
		writer.write(String.valueOf(processes[0] + processes[1]));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선택 정렬 함수
	 *
	 * @param array : [int[]] 대상 배열
	 *
	 * @return [int[]] 작업 갯수 배열
	 */
	private static int[] selectionSort(int[] array)
	{
		int compareCount = 0;
		int swapCount = 0;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 패스스루의 최소값 인덱스
			int min = i;
			
			for (int j = i + 1; j < array.length; j++)
			{
				compareCount++;
				
				// 현재 요소의 값이 패스스루의 최소값보다 작을 경우
				if (array[j] < array[min])
				{
					min = j;
				}
			}
			
			// 최소 인덱스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
			if (min != i)
			{
				int temp = array[min];
				
				array[min] = array[i];
				array[i] = temp;
				
				swapCount++;
			}
		}
		
		return new int[] { compareCount, swapCount };
	}
}
  • 입력

TC

1
5 3 4 1 2
  • 출력

TC

1
2
3
4
[1, 2, 3, 4, 5]
 - 비교 작업량: 10
 - 스왑 작업량: 4
 - 총 작업량: 14

사용자로부터 공백으로 구분된 숫자 배열을 입력받아 선택 정렬을 수행하고, 작업량을 구분에 따라 표시한다. 핵심 동작은 selectionSort 메소드에서 수행한다.

  • 첫 번째 for: 패스스루
  • 두 번째 for: 비교 작업
  • if문: 스왑 작업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 패스스루의 최소값 인덱스
	int min = i;
	
	for (int j = i + 1; j < array.length; j++)
	{
		compareCount++;
		
		// 현재 요소의 값이 패스스루의 최소값보다 작을 경우
		if (array[j] < array[min])
		{
			min = j;
		}
	}
	
	// 최소 인덱스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
	if (min != i)
	{
		int temp = array[min];
		
		array[min] = array[i];
		array[i] = temp;
		
		swapCount++;
	}
}

패스스루마다 첫 요소를 최소값 min에 할당한다. 이후 다음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순차적으로 min과 비교한다.

min보다 더 작은 요소가 탐색될 경우 이를 교체한다. 최종적으로 min에는 검색한 요소들 중 가장 최소값이 할당된다.

if문에서 min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한다. 패스스루의 첫 요소의 인덱스가 아닐 경우, min이 변경된 것이므로 스왑을 진행한다.

5-4. 선택 정렬의 효율성

선택 정렬의 효율성을 따져보자. 위에서 언급했듯이, 선택 정렬은 비교, 교환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비교는 항상 일어나고, 교환의 경우 조건부로 일어난다.

요소가 5개인 배열을 선택 정렬할 경우 발생하는 비교 작업량은 아래와 같다.

패스스루작업량
14
23
32
41

4+3+2+1=104 + 3 + 2 + 1 = 10으로 총 10번의 비교 작업이 수행된다. 일반화하면 (N1)+(N2)++1(N - 1) + (N - 2) + \dots + 1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교환의 경우, 비교와 달리 패스스루 당 최대 한 번만 발생하며, 이 또한 조건에 따라 아예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가장 최악의 경우, 각 패스스루마다 교환이 발생하므로 요소가 5개 일 때, 최대 4번의 교환 작업을 예상할 수 있다.

예시로, [5,3,4,1,2][ 5, 3, 4, 1, 2 ]의 경우 모든 패스스루에서 스왑이 일어난다.

버블 정렬과 선택 정렬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NN버블 정렬선택 정렬차이
5201430%
10905440%
2038019952.4%
40156081952.5%
806320322951.1%
1009900504951%

버블 정렬 대비 선택 정렬의 속도가 50%로 수렴한다. 즉, 최악의 경우에도 선택 정렬이 두 배 가량 빠르다는 걸 알 수 있다.

5-5. 상수 무시하기

이전 문단에서의 디테일한 비교로 버블 정렬과 선택 정렬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선택 정렬을 빅 오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O(N2/2)O(N^2 / 2)가 된다.

NNN2/2N^2 / 2선택 정렬의 작업량
512.514
105054
20200199
40800819
8032003229
10050005049

위 표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하지만 실제 버블 정렬과 선택 정렬의 빅 오 표기법은 둘 다 동일하게 O(N2)O(N^2)이다. 실제로 선택 정렬 또한 반복문이 두 번 중첩되어있다. O(N2)O(N^2)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나있는 것이다. 이는 빅 오 표기법이 처음 소개된 3장부터 꾸준히 언급되었던 특징으로, 빅 오 표기법은 상수를 무시한다.

분명히 상수도 유의미한 수인데, 명색이 성능을 측정한다는 기법이 왜 이렇게 느슨한 형태를 가지는 걸까?

5-6. 빅 오의 역할

빅 오 표기법은 왜 상수를 무시할까? 이는 빅 오 표기법이 가지는 관점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O(N)O(N)O(N2)O(N^2), O(100N)O(100N)O(N2)O(N^2)의 작업량을 비교하면서 빅 오 표기법이 알고리즘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지 확인해보자.

O(N2)O(N^2)의 경우, 어떠한 경우에든 O(N)O(N)보다 같거나 느리다. 하지만 O(100N)O(100N)의 경우는 살짝 다르다. 데이터가 적은 앞 구간에선 오히려 O(N2)O(N^2)이 더 빠르지만, 충분히 데이터가 많아진 이후로는 O(100N)O(100N)이 더 빠르다.

빅 오 표기법이 상수에 크게 미련을 갖지 않는 이유다. O(N)O(N), O(N2)O(N^2)과 같이 구간이 완전히 다를 경우 항상 빠르거나, 반대로 느리다.

그러나 O(100N)O(100N), O(N2)O(N^2)의 경우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르기도 하고, 느리기도 하다. 이런 경우의 알고리즘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빅 오 표기법은 상수를 무시한다. 어차피 O(N)O(N)이나 O(100N)O(100N)이나 장기적으론 O(N2)O(N^2)보다는 빨라지기 때문이다.

빅 오 표기법은 여전히 구간이 전혀 다른 알고리즘을 상대로는 유효한 성능 판단의 척도다. 시간 복잡도가 동일하더라도, 실제로 보여주는 알고리즘의 성능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자.

5-7. 실제 예제

요소 NN개를 가진 배열에서 두 요소 중 하나만 선택하여 N÷2N \div 2의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알고리즘을 설계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s;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배열 선택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23/about-algorithm-chapter05/">빅 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코드 최적화</a>
 * @since 2021.07.23 Fri 22:32:54
 */
public class HalfArray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정수 배열을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입력 >> ");
		writer.flush();
		
		// 배열
		int[] array = Arrays.stream(reader.readLine().split(" ")).mapToInt(Integer::parseInt).toArray();
		
		int[] result = solve(array);
		
		writer.write(Arrays.toString(result));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알고리즘 결과 반환 함수
	 *
	 * @param array: [int[]] 대상 배열
	 *
	 * @return [int[]] 결과 배열
	 */
	private static int[] solve(int[] array)
	{
		int length = (int) Math.ceil(array.length / 2D);
		
		int[] result = new int[length];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 인덱스가 짝수일 경우
			if (i % 2 == 0)
			{
				result[count] = array[i];
				
				count++;
			}
		}
		
		return result;
	}
}
  • 입력

TC

1
0 1 2 3 4 5 6 7 8 9
  • 출력

TC

1
[0, 2, 4, 6, 8]

위 알고리즘은 배열의 모든 원소를 순회하며, 인덱스가 짝수일 경우 해당 값을 추출하여 새로운 배열로 만들어 반환한다.

해당 알고리즘은 탐색삽입으로 이루어져있다.

  • 탐색: NN
  • 삽입: N/2N / 2

즉, 위 알고리즘의 정확한 시간 복잡도는 O(1.5N)O(1.5N)이며, 위에서 언급했듯이 상수를 무시하므로 O(N)O(N)으로 표기한다.

위 알고리즘을 조금 더 최적화해보자.

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s;

/**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향상된 배열 선택 클래스
 *
 * @author RWB
 * @see <a href="https://blog.itcode.dev/posts/2021/07/23/about-algorithm-chapter05/">빅 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코드 최적화</a>
 * @since 2021.07.23 Fri 22:51:52
 */
public class ImproveHalfArray
{
	/**
	 * 메인 함수
	 *
	 * @param args: [String[]] 매개변수
	 *
	 * @throws IOException 데이터 입출력 예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writer.write("요소의 갯수가 짝수개인 정수 배열을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입력 >> ");
		writer.flush();
		
		// 배열
		int[] array = Arrays.stream(reader.readLine().split(" ")).mapToInt(Integer::parseInt).toArray();
		
		int[] result = solve(array);
		
		writer.write(Arrays.toString(result));
		writer.newLine();
		writer.flush();
		
		writer.close();
		reader.close();
	}
	
	/**
	 * 알고리즘 결과 반환 함수
	 *
	 * @param array: [int[]] 대상 배열
	 *
	 * @return [int[]] 결과 배열
	 */
	private static int[] solve(int[] array)
	{
		int length = (int) Math.ceil(array.length / 2D);
		
		int[] result = new int[length];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2)
		{
			result[count] = array[i];
			
			count++;
		}
		
		return result;
	}
}
  • 입력

TC

1
0 1 2 3 4 5 6 7 8 9
  • 출력

TC

1
[0, 2, 4, 6, 8]

위 알고리즘은 solve 메소드의 for부분을 향상시킨 알고리즘이다.

JAVA

1
2
3
4
5
6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2)
{
	result[count] = array[i];
	
	count++;
}

요소를 하나한 탐색하여 그 중 짝수인 인덱스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짝수 인덱스만을 탐색하여 삽입한다. 즉, 탐색의 작업이 50% 감소했다.

  • 탐색: N/2N / 2
  • 삽입: N/2N / 2

이 알고리즘은 정직하게 O(N)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엄밀히 따지면 아래의 알고리즘이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시간 복잡도의 관점에서는 둘 다 동일하다.

같은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고 해도, 데이터의 양이 무수히 많을 경우 아래의 알고리즘이 더 적합할 것이다.

마무리

이 장에서 주로 얘기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빅 오 표기법은 비관적인 관점을 가지므로 시간 복잡도의 상수를 무시한다.
  • 시간 복잡도가 같아도, 실제 성능은 유의미하게 차이날 수 있다.

간혹 여러 사람을 만나다보면 인생을 항상 부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사람이 더러 있다. 아마 빅 오 표기법이 의인화된다면 이런 사람이 되지 않을까 싶다.

부정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때도 있겠지만, 언제나라는 말이 통용되진 않는다. 세상엔 수 많은 관점이 존재하고, 이는 알고리즘도 예외는 아니다. 다행히, 현실에서 대부분의 일은 평범의 범주 안에서 일어난다.

다음 장에서는 부정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평균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 태그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 선택 정렬

읽어주셔서 고마워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댓글을 달아주시는 건 어떤가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https://hits.seeyoufarm.com/api/count/incr/badge.svg?count_bg=%23484848&icon=react.svg&icon_color=dodgerblue&title=view&title_bg=%23242424&url=https%3A%2F%2Fblog.itcode.dev%2Fposts%2F2021%2F07%2F23%2Fabout-algorithm-chapter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