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kyll] GitHub Pages를 이용해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 3. Git 설치하기
게시글
⏰ 2021-06-06 14:42:11
D O W N

D O W N
※ 본 게시물은 Jekyll 시절의 게시글을 토대로 복원한 게시물입니다.
GitHub는 각 프로젝트를 하나의 Repository로 관리한다. 생성한 Repository는 Git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GitHub 페이지 자체로도 Repository 내부의 파일 생성, 수정, 삭제가 가능하지만 매우 번거로우므로 대부분 Git을 활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전 장에서 GitHub 계정을 만들었다. 🔗 GitHub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로그인을 해보자.
해당 계정에서 관리하는 Repository의 전체 리스트를 보여준다. 아직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다면 위 사진처럼 심플하게 보여준다.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하자.
이 때, 주의할 점이 한가지 있는데, Repository의 이름을 {username}.github.io으로 지정한다. 만약, username이 test라면, Repository의 이름은 test.github.io이 된다. 아이디가 아닌 username임에 주의하자. username은 프로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 계정이 관리하는 Repository의 이름은 중복될 수 없으므로, Root 경로의 호스팅은 계정 당 하나만 가능하다. 계정을 많이 만들어서 운용하면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긴 하다.
나머지 옵션은 호스팅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무시하고 넘어가도 된다. 입력한 내용을 확인한 뒤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하여 생성한다. Repository 목록에 생성한 Repository가 추가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이 Repository에 Jekyll 블로그 소스를 올릴 것이다.
생성된 저장소로 접근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위 내용은 Git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PC에 저장소를 생성하고, 이를 GitHub의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여 소스관리를 하는 절차를 안내하는 내용이다.
이제 생성한 Repository를 관리할 Git을 설치해보자. Git은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형상관리 툴로, Linux의 아버지 리누스 토르발스(Linus Benedict Torvalds)가 개발했다. 넓은 의미로 우리가 흔히 하는 복사 및 백업과 동일하지만, Git은 그것 보다는 더욱 강력하다.
Jekyll 블로그는 GitHub를 통해 관리하므로, 이와 연계된 Git의 사용은 필수다. 물론 Git을 사용하지 않고 GitHub의 Repository에서 파일 추가, 삭제, 수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수의 파일을 관리하는데 매우 비효율적이며, 파일 갱신 즉시 블로그에 내용이 반영되므로 오류가 있을 경우에도 블로그에 그대로 반영된다. 또한, 어찌됐든 Jekyll 사용하면서 코드를 만지게 될텐데, VSCode같은 에디터라도 쓰는게 개발환경에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 Git 홈페이지에서 Git를 설치하자.
Git 홈페이지는 위와 같다. 놀랍게도 홈페이지에서 자체적으로 접속한 OS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OS에 가장 적합한 Git을 추천한다. 페이지 우측 상단의 모니터 그림에서 적합한 버전을 제공받을 수 있다.
Git 사용 라이센스에 동의한다. 당연하게도 동의 안 하면 설치가 불가능하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설치경로는 기본값으로 지정한다.
설치 시 적용할 옵션을 선택한다.
원하는 옵션을 추가/제외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파란색으로 하이라이팅된 옵션은 반드시 추가하는 것이 좋다.
시작 프로그램에 추가할 이름을 지정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Git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 편집기를 선택한다. 기본 권장옵션은 Vim이며, 원하는 편집기로 변경이 가능하다. 지원하는 편집기는 아래와 같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환경변수를 지정하는 옵션을 선택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Git 사용 시 HTTPS 전송 방법을 선택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Checkout, Commit 작업 시 파일의 개행문자 처리 방식을 선택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Git Bash 실행 시 사용할 터미널을 선택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git pull 명령어 실행 시 수행할 동작을 지정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Credential helper를 지정한다.
※ Git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해당 설정을 기본값으로 지정하시길 권장합니다.
Git에서 제공하는 실험적인 옵션을 선택한다. 해당 옵션은 업데이트에 따라 정식으로 지원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컴퓨터의 사양에 따라 약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됐다. Launch Git Bash를 체크하면 Git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Git Bash가 즉시 실행된다.
설치 후 바탕화면이나 폴더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컨텍스트 메뉴를 띄우자. 🔗 설치 옵션에서 선택했던 내용에 따라 Git Bash Here, Git GUI Here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Bash 혹은 GUI를 실행할 수 있다. Bash는 콘솔 형태이며, GUI는 UI가 있는 흔한 프로그램이다.
위 사진은 Bash의 사진으로, 본 시리즈에서는 Git Bash를 통한 명령어 입력을 기준으로 서술한다.
Git Bash를 실행한다. 자신이 만든 Repository와 통신하기 위해서, 내가 나임을 인증할 수 있는 정보를 사전에 입력해야 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인증 정보를 입력하자.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 email"
username과 email은 회원가입시 입력한 정보로 입력해야한다.
🏷️ Related Tag